본문 바로가기

산행기&사진/백패킹

[스크랩] 비박 / 민주지산 삼도봉(三道峰 1,177m) 泊산행

 민주지산 삼도봉(三道峰 1,177m) 泊산행

◎ 일시 : 2013.12.14(토)~15(일) ◎ 함께한 이 : 산사비박 ( http://cafe.daum.net/tkstkqlqkr ) 따라서 (총 13명) ◎ 퍼온 글(정보) 민주지산은 충청북도 영동군,전라북도 무주군,경상북도 김천시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242m이다. 민주지산은 민두름산,민둥산등으로도 불리운다. <동국여지승람><대동여지도>에는 백운산(白雲山)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에민두름산,민둥산을 일본식 한자로 표기하면서 민주지산으로 바뀌었다. 충청,전라,경상 삼도를 가르는 삼도봉(三道峰)을 거느린 명산으로 삼국시대에는 신라와 백제가 접경을 이루었던 산이기도 하다. 이 산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충복 영동군의 절경 물한리 계곡과 경북 김천시 황악산 기슭의 직지사가 유명하고,동남쪽으로는 마애삼두불의 미소를 머금은 석기봉(石奇峰)과 조선조 태종14년(서기1414년) 전국을 8도로 나눌때 삼도의 분기점이된 삼도봉이 웅거하여 삼남을 굽어본다. <산행 코스> 1.A코스:도마령(해발843m)▶각호산(해발1186m,1.6km)▶민주지산(해발1242m, 5.6km) ▶석기봉(해발1200m, 3.1km)▶삼도봉(해발1177m, 1.3km) ▶삼마골재(1.0km) ▶쪽새골갈림길(3.0km)▶물한계곡 주차장(1.7km) A코스 총산행거리:약17.4 km 2.B코스:도마령(해발843m)▶각호산(해발1186m, 1.6km)▶민주지산(해발1242m, 5.6km) ▶갈림길(0.4km,좌측으로하산)▶쪽새골갈림길(2.4km)▶물한계곡주차장(1.8km) B코스 총산행거리:약 11.8km 1.도마령(刀馬嶺): 칼을 찬 장수가 말을타고 넘었다는 전설에서 유래. 2.상용정: 충북 영동군 상촌면과 용화면의 머릿글자 한글자씩 따서 정자를 건립. 3.각호산(角虎山): 뿔이 달린 호랑이가 살았다는 전설에서 산이름이 유래. 4.민주지산:원래 백운산이라는 이름이 있는데 멀리서 보면 산이 밋밋하게 보여 민두름산이라고 불리던 것이 일제시대 한자로 옮기는 과정에서 "민주지산"으로 바뀌었다. 2005년 산림청에서 다시 백운산으로 개명키로 했다고 발표. 5.석기봉(石奇峰): 기이하게 생긴 바위봉우리라는 데서 이름이 유래. 마치 쌀겨처럼 생겼다하여 쌀겨봉이라고 부르기도한다. 6.삼두마애불(三頭磨崖佛): 석기봉에서 서남쪽으로 100m쯤 아래 경사진 암벽에 높이6m, 폭2m의 크기로 양각된 삼신상,일신 삼두상이 있다. 이 삼신상,일신삼두상은 고려때 만들어졌다는 설과 백제때 만들어졌다는 설이 있으며,근화좌대위에 오른 어깨에 납의를 두르고 결가부좌를한 형태이다. 왼쪽 발가락이 오른쪽 정강이 밑으로 튀어나와 있는 특이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삼신상밑으로 바위에서 물이 떨어져 고이는 약수물탕이 있는데 심한 가뭄에도 마르지 않으며 삼신상 앞에 20여평되는 공터가있어 예로부터 하늘과 산신에개 비는 기도처로 이름이 나있다. 삼신이란 천지인을 말하는데 천은 칠성,지는 용왕,인은 산신 7.삼도봉:조선조 태종14년(서기1414년) 조선을 8도로 나누면서 충청도,전라도,경상도의 분기점이 된다 하여 얻은 이름이다.삼도대화합탑이 조성되어 있다. 8.삼마골재:백두대간 종주시 중요 기준점이다. 9.물한계곡(勿閑溪谷):"물이 차다"고 하여 이름붙은 한천마을 상류에서 상도대리까지 12.8km에 이르는 긴계곡을 일컫는다. ↓ 민주지산 개념도

   


   

↓ 민주지산 안내도

   

↓ 함께한 '산사비박 http://cafe.daum.net/tkstkqlqkr '회원님들

   

↓1 겨울 산행은 크리스마스 전후 토요일에 해왔었는데 올핸 예전에 비해 눈이 많이 내려 둘째주 부터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동계비박은 안 할려고 했었는데 결국 동계비박 장비를 질러대고 '산사비박 http://cafe.daum.net/tkstkqlqkr '산악회를 따라 첫 동계비박을 나섰습니다. 삼도봉으로...

   

↓2 새벽 첫 전철에 탑승하여 서울역에 도착 '산사비박' 회원들과 함께 7시 20분 부산행 무궁화호 3호실에 탑승하여 영동역에 내려 택시를 타고 물한마을 한천주차장에 모여 잠시 인근 식당(다래나무식당)에서 휴식 후 10시10분경에 산행을 시작 3시간 30분 이상을 소비하고 이곳 삼도봉에 도착했습니다.

   

↓3 삼도봉은 남한에 3곳이 있습니다. 지리산 화개재와 반야봉삼거리 중간있는 삼도봉, 무주 김천 거창에 있는 대덕산 우측아래 있는 초점산과 이곳 삼도봉입니다. 3곳 삼도봉 중에서 이곳은 진정한 3도(전라도 충청도 경상도)가 접한 곳이므로 오리지널 삼도봉이라 할 수 있습니다.

   

↓4

   

↓5 매서운 바람에 맺힌 상고대. 민주지산은 1998년4월2일 제5공수여단 흑룡부대 특전요원들이 훈련도중 6명이 사망했던 아픔이 있는 곳입니다.

   

↓6

   

↓7 매서운 칼바람 속에서 구축된 아지트들. 21개 탠트 집성촌을 이루었습니다.

   

↓8

   

↓9 아침을 먹고 물한마을에서 2시40분에 출발하는 버스를 탑승하기 위해 10시30분에 삼도봉을 떠남니다.

   

↓10 올라갈 땐 약 4시간 가량 힘드게 올라갔지만 하산길은 수월하게 2시간도 안 걸린 것 같았습니다. 내려와서 민주가든(043-745-5516)에서 거~하게 하산주 겸 점심으로 마무리하고 탑승 정류장으로 하산합니다. 버스정류장은 다래나무식당(043-745-0967 영동 상촌 물한리 960-2)에서 출발합니다.

   

↓11 우리를 반겨주는 백구. 백구 밥그릇은 넘 깨끗하네요. 밥 그릇을 보면 배 고픈집 개인지 배 불리먹는 호강한 개인지 알 수 있죠. 개주인은 백구한테 니가 알아서 끼니를 해결하라고 한 것인지... 백구가 꼬리를 치며 발광합니다. 그런데 백구에게 줄만한 것이 없어 미안하구만유...그냥 머리를 쓰다듬어 준 것 뿐.

   

↓12 날으는 저팔계 모습? 백구야 한 겨울 잘 견디고 다가오는 여름 무사히 잘 넘겨 만수무강하려무나~~

   



출처 : 개척인의 쉼터 (어이 친구야~ 막걸리 한 병 들고 산에나 가자)
글쓴이 : 촌장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