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_daum->
2018년 새해 첫 해맞이 산행 / 무등산 서석대 (無等山 瑞石臺 1,100m)
<1부>
2017.12.30(토)~2018.01.01(월)
증심사버스정류장-> 증심사(220m)-> 봉황대(491m)-> 천제단삼거리-> 중머리재-> 용추삼거리(760m)-> 광주천발원지->
장불재(919m)-> 장불재삼거리-> 낙타봉(930m) U턴-> 장불재삼거리.장불재-> 입석대(1,017m)-> 승천암->
서석대(1,100m) U턴-> 장불재-> 목교-> 제철유적지-> 원효분소/1187버스 정류장 [총15km 이상]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전체면적 75.425㎢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다.
해발1,187m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입석대·규봉 등 수직 절리상의 암석이 석책을 두른 듯
치솟아 장관을 이룬다.
또 마치 옥새 같다 하여 이름 붙여진 새인봉은 장불재에서 서쪽 능선상에 병풍같은 바위절벽으로 이뤄져 있으며
입석대, 서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기암·괴석 등 경관자원 126개소가 분포되어 있다.
-국립공원홈피에서 발췌-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Main.do?parkId=122000&menuNo=7020090
2016.4.22일 산행후기 자료 -> http://cafe.daum.net/cafe2050/O5YB/207
↓
열심히 살아온 성실한 범생이 친구들입니다. 함께 같이 모이기가 힘들어 1년에 몇 차례 정도만 만나지만
35년 우정을 맺어준 고향같은 이곳 광주에서 모여 술잔을 비우고 채우고..지난날 추억을 얘기합니다.
↓
역시 술잔은 친구들과 부딫혀야 고민과 스트레스가 확 풀립니다.
친구들아 고맙다~
↓
이번 모임도 광주 상무지구에 있는 이곳 횟집에서...
이곳 횟집 강추~... 직원도 국내산이라네요. ㅎㅎ
↓
다음날 증심사전철역에 내려 시내버스로 갈아타고 증심사주차장에 하차하여 산행을 시작합니다.
증심사는 해발 약 220m에 위치하며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인 송광사의 말사로서 860년 철감선사가 창건한 절입니다.
↓
고갯마루가 넓은 초원지로 마치 스님의 머리를 닮아 중머리(僧頭峰)이라 합니다.
정상석 뒷편 멀리 있는 산은 서석대, 그리고 우측 통신탑이 있는 곳은 장불재입니다.
↓
광주시내를 관통하는 광주천은 이곳 샘에서 시작됩니다.
↓
힘들게 해발 919m 장불재에 도착했습니다.
이곳에 도착하면 확 트인 느낌을 받게되고 지형적인 영향으로 태풍급 바람도 불고 그리고 대피소가 있으나 라이타불도 켤수없습니다.
↓
입석대
↓
장불재는 무등산의 4통8달 지점에 해당합니다.
원효분소(6.4km), 입석대(0.4km), 서석대(0.9km), 중머리재(1.5km), 규봉암(1.8km), 석불암(1.6km), 안양산(3.1km), 만연산(3.4km)
↓
태풍급 바람이라서 그런지 하늘 구름도 순간 바뀝니다.
↓
장불재에서 kbs중계탑 지나 안양산 방향으로 300여미터 가다보면 장불재갈림길 이정표가 있습니다.
직진하면 낙타봉을 지나 안양산(2.8km), 우측 너와나목장(1.6km)
↓
날씨가 춥고 습한공기로 인해 억새에도 상고대가..
</!-by_daum->
'산행기&사진 > 백패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박 / 대둔산 (大芚山 878m)..<1부> 2018.01.13(토)~14(일) (0) | 2018.01.16 |
---|---|
비박 / 대둔산 (大芚山 878m)..<2부> 2018.01.13(토)~14(일) (0) | 2018.01.16 |
무등산 서석대 (無等山 瑞石臺 1,100m) / 2018년 새해 첫 해맞이 산행 / ...2부 (0) | 2018.01.04 |
연천 고대산 (高臺山 832m) / 백패킹 ...2017.12.23(토)~24(일) (0) | 2017.12.24 |
감악산 방어회 모임 / 백패킹 ...2017.12.02 (0) | 2017.12.03 |